조지프 P. 케네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프 P. 케네디는 1888년 보스턴에서 태어나 금융업과 영화 사업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미국의 사업가이자 외교관, 정치인이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베들레헴 스틸사의 임원으로 일했으며, 금주법 폐지 후 주류 수입 사업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1938년 주영국 미국 대사로 임명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의 민주주의를 비판하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켜 사임했다. 그는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아들들에게 투영하여 존 F. 케네디를 대통령으로 만드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반유대주의적 발언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고립주의적 입장으로 비판을 받았다. 또한, 딸 로즈마리 케네디에게 뇌엽절제술을 시행한 사실이 논란이 되었다. 그는 1969년 사망했으며, 자녀 중 존 F. 케네디, 로버트 F. 케네디, 에드워드 M. 케네디 등 많은 정치인을 배출하여 '케네디 왕조'의 기틀을 마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존 F. 케네디 - 하버드 케네디 스쿨
하버드 케네디 스쿨은 1936년 하버드 대학교 정부대학원으로 설립되어 공공정책, 국제관계, 공공행정 분야의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며 공공 부문 리더십 양성에 중점을 둔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이다. - 존 F. 케네디 -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는 미국의 사교계 명사이자 작가, 사진가로서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영부인이었으며, 백악관 변화와 예술 장려를 통해 미국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패션 아이콘으로 사랑받았으며, 케네디 대통령 암살 후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와 재혼 후 편집자로 활동했다. - 영국 주재 미국 대사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영국 주재 미국 대사 - 제임스 뷰캐넌
제임스 뷰캐넌은 1791년에 태어나 1857년부터 1861년까지 제15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노예제 문제와 경제 공황을 겪었고 남부의 탈퇴 시도에 미온적으로 대처하여 비판을 받았다. - 미국의 재무분석가 - 피터 틸
독일 태생 미국 기업가 피터 틸은 페이팔 공동 창업자이자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회장, 페이스북 초기 투자자로서, 다양한 벤처 투자 및 헤지펀드 설립, 보수 자유지상주의 정치 활동, 틸 재단을 통한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미국의 재무분석가 - 피터 쉬프
피터 쉬프는 2007-2008년 금융 위기를 예측한 미국 금융 분석가이자 투자자로, 유로 패시픽 캐피탈과 유로 패시픽 은행을 설립 및 운영하며, 자유 시장 경제 원칙에 기반한 경제 전망과 정부 개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 주요 견해와 경제 관련 저서를 발표하며 활동하지만 그의 예측과 견해는 논쟁의 대상이 된다.
조지프 P. 케네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조지프 패트릭 케네디 |
출생일 | 1888년 9월 6일 |
출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
사망일 | 1969년 11월 18일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하이애니스 포트 |
안장지 | 홀리후드 공동묘지 |
배우자 | 로즈 피츠제럴드(1914년 결혼) |
자녀 | 조지프 주니어 존 로즈메리 캐슬린 유니스 패트리샤 로버트 진 에드워드 |
부모 | P. J. 케네디(아버지) 메리 어거스타 히키(어머니) |
친척 | 케네디 가문 |
학력 | 하버드 대학교 (문학사) |
![]() | |
직업 | 사업가 투자자 자선가 정치인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민주당 |
공직 | |
초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 | 재임 기간: 1934년 6월 30일 – 1935년 9월 23일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임: (신설) 후임: 제임스 M. 랜디스 |
초대 미국 해사위원회 위원장 | 재임 기간: 1937년 4월 14일 – 1938년 2월 19일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임: (신설) 후임: 에모리 S. 랜드 |
제44대 주영국 미국 대사 | 재임 기간: 1938년 3월 8일 – 1940년 10월 22일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임: 로버트 워스 빙엄 후임: 존 길버트 위넌트 |
2. 경력
하버드 대학교 졸업 후 금융업에 종사하며 주식 시장 투자를 통해 부를 축적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베들레헴 스틸의 조선 부문에서 일하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인연을 맺었다. 이후 영화 산업에 투자하여 RKO 스튜디오 설립에 관여하고, 금주법 폐지 후에는 주류 수입 사업과 부동산 투자로 재산을 더욱 늘렸다. 시카고의 머천다이즈 마트 빌딩 인수는 그의 대표적인 투자 사례이다.
루스벨트 행정부에서 초대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과 미국 해사 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1938년 주영국 미국 대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어 1940년 대사직에서 물러나며 공직 경력을 마감했다.
이후에는 막대한 자산을 바탕으로 아들들의 정치 경력을 지원하는 데 집중했다. 장남 조지프 P. 케네디 주니어의 전사 후 차남 존 F. 케네디를 적극 지원하여 대통령 당선에 기여했으며, 삼남 로버트 F. 케네디와 막내아들 에드워드 M. 케네디 역시 정계에서 활동하며 케네디 가문은 미국의 대표적인 정치 명문가로 자리매김했다. 다른 자녀들인 유니스 메리 케네디와 진 케네디 스미스 역시 사회 활동 및 외교 분야에서 활동했다.
1961년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건강이 악화되어 활동에 제약을 받았고, 1969년 11월 18일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조지프 패트릭 케네디 시니어(Joseph Patrick Kennedy Sr.)는 1888년 9월 6일, 매사추세츠주 이스트 보스턴의 151 메리디언 스트리트에서 태어났다.[1][2] 그의 아버지는 사업가이자 아일랜드계 미국인 사회의 지도자로 알려진 민주당 정치인 P. J. 케네디였고, 어머니는 메리 오거스타 히키였다. 케네디는 이들의 장남이었다.[1] 그의 할아버지 패트릭 케네디는 1849년 아일랜드에서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조지프는 미국 이주 3세대였다. 그가 태어날 무렵 케네디가는 이미 부유했고 보스턴뿐 아니라 동부 해안에서 영향력 있는 가문이었지만, 당시 보스턴 사회의 주류를 이루던 영국계 프로테스탄트 시민들(소위 '보스턴 브라민')에게는 여전히 이방인 취급을 받았다.
아버지 패트릭은 장남 조에게 큰 기대를 걸고, 당시 보스턴의 프로테스탄트계 엘리트 자제들이 다니던 명문 보스턴 라틴 학교에 진학시켰다. 이는 아들이 가톨릭계라는 틀에 갇히지 않고 더 큰 사회적 성공을 이루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을 보여준다. 조의 성적은 그리 뛰어나지 않았지만,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아 학급 회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다.[3] 그는 야구에서도 재능을 보였으며, 1908년에 학교를 졸업했다.[3][1]
이후 케네디는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하여 경제학을 전공했고, 1912년에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4][5] 대학 시절 그는 명망 있는 사교 클럽인 하스티 푸딩 클럽과 델타 웁실론 클럽에는 가입했지만, 최상류층 클럽으로 여겨지던 포셀리언 클럽에는 가입을 거절당했다.[3][134] 그는 하버드 야구부에서 활약했다고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1학년 이후 팀에 소속되지 못했고 4학년 마지막 경기에 잠시 1루수로 출전한 것이 전부였다. 이는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주장을 설득해 얻어낸 기회였으며, 당시 마지막 아웃을 잡은 공을 승리 투수에게 주지 않고 자신이 챙겨간 일화는 그의 성격을 보여주는 사례로 종종 언급된다.[135]
2. 2. 사업 경력
1912년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한 후, 주정부 소속 은행 감사관으로 첫 직업을 시작하며 은행 산업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11] 1913년에는 부친이 지분을 가진 컬럼비아 트러스트 은행이 인수 위기에 처하자, 친척과 지인들로부터 4.5만달러를 빌려 경영권을 확보하고 1914년 25세의 나이로 은행장에 취임했다. 그는 스스로를 미국 최연소 은행장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11] 같은 해 보스턴 시장 존 F. 피츠제럴드의 딸 로즈 피츠제럴드와 결혼하여 정계 인맥을 넓혔다. 1917년 5월에는 뉴잉글랜드의 주요 공공 유틸리티 회사인 매사추세츠 전기 회사의 이사로 선출되었다.[12]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매사추세츠주 퀸시에 위치한 베들레헴 스틸의 포어 리버 조선소에서 부총괄 매니저로 일하며 수송선과 군함 생산을 감독했다.[15] 이 시기 해군 차관보였던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인연을 맺었다.[16][137] 전쟁이 끝난 후인 1919년, 증권사 헤이든, 스톤 앤드 코.에 입사하여 당시 규제가 미비했던 주식 시장의 전문가가 되었다. 그는 훗날 내부자 거래나 시세 조종으로 간주될 수 있는 기법들을 활용했으며,[17] 1929년 월가 대폭락 이후에는 공매도를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으로 알려졌다.[19] 1923년에는 자신의 투자 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19] 그는 존 D. 헤르츠의 옐로 캡 컴퍼니 주가 안정화에 관여했으며,[20] 리비-오웬스-포드(LOF) 주식 거래에서는 가장 매매와 같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방식을 사용했다는 평가도 받는다.[21][22]
케네디는 예리한 사업가로서 가치 투자에 대한 안목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부동산 투자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올드 콜로니 부동산 협회(Old Colony Realty Associates, Inc.)를 통해 미국 전역의 부실 부동산을 매입하여 상당한 이익을 남겼다.[13]

1920년대 후반, 케네디는 신흥 산업인 영화 산업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그는 매사추세츠에서 영화관을 사들이며 사업을 시작했고,[27] 곧 할리우드로 진출하여 영화 제작 및 배급으로 영역을 넓혔다.[28][29] 재정난에 처한 소규모 스튜디오 Film Booking Offices of America(FBO)를 150만달러에 인수했으며,[31] 1926년에는 할리우드로 이주하여 본격적으로 영화 사업에 뛰어들었다.[32] 그는 700개 이상의 극장을 보유한 키스-알비-오르페움(KAO) 극장 체인의 지배 지분을 확보했고,[33] 1928년 10월 FBO와 KAO를 합병하여 라디오-키스-오르페움(RKO) 스튜디오를 설립했다.[34] 이 과정에서 라디오 코퍼레이션 오브 아메리카(RCA)와 협력하여 유성 영화 기술을 확보하는 등 사업적 수완을 발휘했다.[35][36]
케네디는 판테이지 극장 체인 인수를 시도했으나 초기 제안은 거절당했다. 이후 극장 소유주 알렉산더 판테이지가 법적 문제에 휘말리면서 평판이 손상되자, 케네디는 수정된 제안으로 결국 극장 체인을 인수했다. 판테이지는 케네디가 자신을 함정에 빠뜨렸다고 주장했으며, 그를 고소했던 여성 유니스 프링글이 임종 직전 케네디의 음모였다고 자백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37][38][39][140] 케네디는 할리우드 투자로 500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 그는 배우 글로리아 스완슨과 3년간 관계를 맺으며 그녀의 영화 《선야의 사랑》(1927), 《퀸 켈리》(1928) 등의 제작 자금을 지원했다.[40] 그러나 스완슨이 케네디가 선물 비용 등을 자신의 계좌에 청구한 사실을 알게 되면서 관계는 파탄났다.[41][141]

금주법 시대에 케네디가 프랭크 코스텔로와 같은 마피아와 연계하여 밀주 사업을 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7] 전기 작가 데이비드 나사우를 비롯한 많은 역사가들은 신뢰할 만한 증거가 없다며 이를 일축한다.[8][42][43][44][143][144][145] 금주법이 폐지된 1933년 이후, 케네디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아들 제임스 루스벨트 2세와 함께 주류 수입 회사인 소머셋 임포터스(Somerset Importers)를 설립했다.[45] 이 회사는 Haig & Haig 스카치, Gordon's 드라이 진, Dewar's 스카치 등의 독점 수입권을 확보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캐나다의 Schenley Industries로부터 증류주 수입 권리를 매입하는 등 주류 사업을 확장했다.[34] 그는 술을 거의 마시지 않았으며, 아들들에게 21세까지 금주하면 1000USD를 주겠다고 제안하기도 했다.[46]
케네디는 주류 사업으로 얻은 막대한 수익을 부동산에 재투자했다. 뉴욕 시의 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과 플로리다주 히앨리아의 히앨리아 파크 경마장 등에 투자했으며,[47][48] 특히 시카고의 머천다이즈 마트 빌딩 인수는 그의 가장 중요한 부동산 투자로 꼽힌다. 당시 세계 최대 규모였던 이 건물은 케네디 가문의 시카고 거점이 되었고, 아들들의 정치 경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9][50]
케네디는 사업가로서 뛰어난 수완과 시기 포착 능력을 보여주었지만, 그의 사업 방식 중 일부는 당시 기준으로도 논란의 여지가 있었으며 현대적 기준으로는 내부자 거래나 시세 조종에 해당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17] 1957년 포춘지가 처음 발표한 미국 부자 명단에서 그는 2억달러에서 4억달러 사이의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9][10]
2. 3. 정치 경력
193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를 지지하며 처음으로 전국적인 정치 캠페인에 참여했고, 상당한 자금을 기부하고 모금했다.[51] 루스벨트 행정부 출범 후, 1934년 미국 의회는 증권 시장의 조작과 허위 정보 유포를 막기 위해 독립적인 증권거래위원회(SEC)를 설립했다.[52] 루스벨트의 참모진은 케네디를 초대 위원장 후보 명단 최상위에 올렸는데, 그의 "집행 능력, 규제 대상 사업에 대한 이해, 위원회 내 다양한 관점 중재 능력"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53]
케네디는 윌리엄 O. 더글러스, 에이브 포터스 등 유능한 변호사들을 영입하여 개혁을 위한 팀을 꾸렸다.[54] SEC는 투자자 신뢰 회복, 사기 근절, 특히 내부자 거래와 같은 대규모 시장 조작 방지, 그리고 증권 등록 시스템 구축이라는 네 가지 주요 임무를 맡았다. 케네디는 월스트리트가 더 이상 기업계를 속이거나 이용하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시키며 SEC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일반 투자자들이 시장으로 돌아와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독려했다.[55] 그의 개혁 활동은 투자자 보호 노력을 인정받아 널리 칭찬받았으며, 그는 1935년 9월 SEC 위원장직에서 사임했다.[56][147] 루스벨트는 "도둑을 잡는 데는 도둑이 필요하다"며 세간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케네디를 임명했다고 전해진다.[146]
193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루스벨트를 도왔으며, 재계 인사들에게 루스벨트와 뉴딜 정책 지지를 설득하는 내용의 책 『나는 루스벨트 지지자다』(I'm for Roosevelteng)를 직접 출판하여 배포했다. 이는 재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고, 재선 후 루스벨트는 케네디를 미국 해사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했다.[57] 케네디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조선소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활동했으나, 이 자리에는 약 10개월만 머물렀다.[58][148]
1930년대에 라디오 방송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가톨릭 사제 찰스 코플린 신부는 점차 반(反)루스벨트, 반공산주의, 반유대주의, 고립주의 성향을 드러냈다. 루스벨트는 케네디를 포함한 아일랜드계 가톨릭 인사들을 통해 코플린의 영향력을 억제하고자 했다.[59] 케네디는 코플린이 "매우 위험한 존재"이자 "노골적인 선동가"라고 여겼으며,[60] 뉴딜 정책을 강력히 지지했다. 그는 프랜시스 스펠먼 주교, 에우제니오 파첼리 추기경(훗날 교황 비오 12세) 등과 협력하여 코플린의 활동을 제약하려 노력했다.[60][61]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 사이에는 교류가 있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62][63][64]

1938년, 루스벨트는 케네디를 주영국 미국 대사로 임명했다. 이는 아일랜드계 미국인 최초의 주영 대사 임명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했다. 케네디는 이 자리를 발판 삼아 루스벨트의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되려는 야심을 품고 있었다.[65] 당시 영국 총리 네빌 체임벌린의 아돌프 히틀러에 대한 유화 정책을 지지했으며, 미국의 고립주의 견지에서 히틀러와의 타협만이 제2차 세계 대전을 피할 길이라고 믿었다. 그는 미국이 영국에 무기를 제공하는 것에도 반대했다. 대사로서 나치 독일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독일의 영국 본토 공습이 시작되자 런던을 떠나 교외로 피신한 그의 행동은 영국과 미국 양국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149] 이로 인해 그는 패배주의자라는 평판을 얻었고,[68] 영국 내에서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66][67] 또한 체코슬로바키아 위기 당시 증권 공매도를 통해 부당 이익을 얻었다는 비난도 받았다.[150]
1940년 11월 10일, 보스턴 글로브와의 인터뷰에서 "영국에서 민주주의는 끝났다. 미국에는 아직 있을지 모른다"고 발언한 것이 결정타가 되었다. 이 발언은 영국이 나치즘에 맞서 싸우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자기 보존을 위한 싸움을 하고 있다는 취지로 해석되어 국민적 비판을 일으켰다. 결국 루스벨트는 케네디를 더 이상 대사직에 둘 수 없다고 판단했고, 케네디는 1940년 11월, 임명된 지 2년 9개월 만에 대사직에서 사임하며 사실상 정치 경력을 마감했다.[152] 이후 케네디는 공식적인 정치 활동에서 물러나 자신의 자녀들, 특히 장남 조지프 P. 케네디 주니어와 차남 존 F. 케네디의 정계 진출을 지원하는 데 집중했다.
2. 4. 아들들의 정치 경력 지원

조지프 P. 케네디는 막대한 재산을 바탕으로 직접 선출직 정치에 도전할 수도 있었으나, 주가 조작이나 금주법 시대의 주류 밀매 의혹 등 재산 형성 과정의 투명성 문제와 복잡한 사생활이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해 직접 정치에 나서는 대신 아들들을 통해 정치적 야망을 이루려 했다. 그는 네 아들에게 엄격한 교육을 시키고 서로 경쟁하며 꿈을 키우도록 유도했다.
그는 고립주의 성향으로 미국이 외국의 전쟁에 개입하는 것을 반대했지만, 아들들의 정치적 성공에는 전쟁 참전 경력이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장남 조 주니어와 차남 존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도록 했다. 그러나 가장 기대했던 장남 조 주니어는 1944년 8월 영국 해협 상공에서 아프로디테 작전 수행 중 전사하자, 그의 기대는 차남 존에게 집중되었다.[94]
전쟁 후 존 F. 케네디는 1946년 29세의 나이로 연방 하원의원 선거에 출마했고, 아버지의 막대한 자금 지원에 힘입어 당선되었다. 이후에도 아버지의 지속적인 지원을 받으며 정치적으로 성장하여 마침내 1960년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셋째 아들 로버트 역시 아버지의 도움으로 1950년대 상원 위원회에서 경력을 시작했고, 형 존이 대통령이 된 후 법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96] 막내아들 테드 또한 아버지의 지원 아래 정치 경력을 쌓아나갔다.
케네디는 자신의 부와 인맥을 총동원하여 아들들의 정치 경력을 위한 전국적인 지지자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특히 보스턴, 뉴욕, 시카고, 피츠버그 및 뉴저지주 등지의 아일랜드계 미국인 사회에 공을 들였다.[89] 또한 수십 년간 ''뉴욕 타임스''의 영향력 있는 정치 칼럼니스트였던 아서 크록을 유료 연설문 작성자 및 정치 고문으로 활용하며 언론 플레이에도 능숙한 모습을 보였다.[90][147]
정치적으로는 보수 성향이었으며 (아들 존은 아버지를 "허버트 후버보다 오른쪽에 있다"고 묘사하기도 했다[91]), 1947년 존과 함께 의회에 입성한 리처드 닉슨을 지지하기도 했다. 1960년 대선 때는 닉슨을 만나 그의 반공주의를 칭찬하며 "딕, 내 아들이 안 된다면, 당신을 지지하겠소."라고 말하기도 했다.[92]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 민주주의는 끝났다"는 발언으로 정치적 입지가 크게 좁아졌고, 의심스러운 사업 경력, 로마 가톨릭 신앙, 루스벨트 행정부의 외교 정책에 대한 반대, 그리고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 지지 등으로 인해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었다. 이러한 자신의 약점 때문에 아들들의 선거 운동 전면에 나서지는 못하고 막후에서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는 선거 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미디어 활용법, 정치인 및 뒷세계와의 교섭, 이미지 메이킹 등 자신의 모든 경험과 지식을 아들들에게 전수하며 '최강의 브레인이자 서포터' 역할을 했다.
존 F. 케네디가 1960년 리처드 닉슨을 상대로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을 때, 아버지의 개입 정도에 대한 질문에 존은 선거 전날 아버지가 '압도적인 승리'를 위해 돈을 지불할 의향은 없었다며 필요한 표 수를 물었다는 농담으로 응수하기도 했다. 그는 아들의 대통령 임기 전체를 지켜본 네 명의 아버지 중 한 명이 되었다(다른 세 명은 조지 트라이언 하딩, 너새니얼 필모어, 조지 H. W. 부시였다).[95]
존 F. 케네디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그의 영향력은 계속되어, 법무부 장관 자리에 아들 로버트 케네디를 앉히는 등 내각 구성에도 관여했다.[96] 그러나 1961년 12월, 뇌졸중으로 쓰러져 언어 및 신체 장애를 겪게 되면서 사실상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어려워졌다.
3. 논란
케네디는 1920년대 후반의 주식 투기 열풍이 시장 붕괴로 이어질 것을 미리 알았다고 주장했다. 구두닦이 소년에게 주식 정보를 들었을 때 시장에서 빠져나왔다는 일화가 전해지지만,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없으며, 비슷한 이야기가 1957년 버나드 바루크와 관련하여 처음 등장했다.[23] 그는 "사실에 대한 열정, 감상적인 면의 완전한 결여, 놀라운 시기 감각" 덕분에 폭락을 피할 수 있었다고 평가받는다.[24]
대공황 시기 동안 케네디는 투자 등급의 부동산에 주로 투자하며 재산을 크게 늘렸다. 1929년 그의 재산은 약 400만달러로 추정되었으나, 1935년에는 약 1.8억달러까지 증가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막대한 자본으로 그는 아홉 자녀 각각에게 평생 재정적 독립을 보장하는 수백만 달러 규모의 신탁 기금을 설립했다.[25]
그러나 그의 재산 형성 과정에는 논란이 많다. 그는 주식 시장, 부동산, 동산 투자를 통해 막대한 부를 쌓았는데, 시세를 파악하고 절묘한 타이밍에 자산을 매매하는 데 능숙했지만, 현재 기준으로 보면 명백한 내부자 거래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았고 내부 정보 취득 방식에도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 때문에 그가 증권 거래 위원회(SEC) 초대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을 때 많은 비난이 일었다. 케네디는 이 시기에 샘 지안카나나 프랭크 코스텔로와 같은 마피아 두목들과 협력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특히 "베어 레이드"라 불리는 주가 조작을 통해 1929년 대공황의 도화선 역할을 했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케네디가 마피아와 손잡고 주류 밀수를 했다는 소문도 끊이지 않았다. 1957년 포춘지가 처음 발표한 "미국 대부호 리스트"에서 그는 9위에서 16위 사이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밀수 의혹은 널리 퍼져 있지만, 역사학자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143] [144] [145]
1920년대 후반, 케네디는 주식 거래로 얻은 자금을 당시 신흥 산업이던 영화 산업에 투자했다. 그는 경영난에 빠진 FBO(Film Booking Offices of America)를 150만달러에 인수하고, 영화관 체인 KAO(Keith-Albee-Orpheum Theaters Corporation)를 인수하여 1928년 두 회사를 합병해 RKO(Radio-Keith-Orpheum)를 설립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RKO 주식을 이용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는 의혹을 받는다. 또한 알렉산더 팬테이지스의 영화관 체인 인수를 시도했으나 거절당하자, 팬테이지스가 강간 미수 혐의로 고소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팬테이지스는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사회적 신용을 잃고 결국 회사를 케네디에게 넘기게 되었다. 이 사건의 고소인 유니스 프링글은 훗날 케네디의 지시를 받고 꾸민 일이라고 증언했다는 주장이 있다.[140]
할리우드에서 케네디는 인기 여배우 글로리아 스완슨과 불륜 관계를 맺었다. 그는 스완슨 주연의 영화 '퀸 켈리'(Queen Kelly, 1929년) 제작에 나섰으나 중단되었고(제작비 60만달러 낭비), 이후 'The Trespasser (1929 film)|트레스패서영어'(1929년), 'What a Widow!|쾌활한 미망인영어'(1930년) 등 몇 편의 영화를 더 제작했지만 스완슨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케네디가 스완슨의 돈을 유용하고 '퀸 켈리' 제작 빚을 그녀에게 떠넘기려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관계는 파탄났고, 케네디는 할리우드 사업에서 손을 뗐다.[141]
금주법 시대에 마피아와 손잡고 주류 밀조로 막대한 부를 쌓았다는 의혹은 당시부터 끊이지 않았다.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1920년대 그의 자산 급증 배경과 프랭크 코스텔로 등 마피아 관련 인물들의 증언으로 인해 밀조 개입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142] 금주법 폐지 직후에는 서머셋(Somerset Importers)이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루스벨트 대통령의 아들 제임스 루스벨트와 손잡고 진과 스카치 수입을 독점하여 다시 큰돈을 벌었다. 이렇게 번 돈은 시카고의 머천다이즈 마트 빌딩 매입 등 부동산 투자에 활용되었다.
케네디의 외교관 및 정치인으로서의 경력은 갑작스럽게 끝났다. 1940년 11월, 영국 본토 항공전 중 보스턴 글로브와의 인터뷰에서 "영국에서 민주주의는 끝났다. 미국에는 아직 있을지 모른다"라고 발언한 것이 큰 물의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이 발언 이후 그는 공직에서 물러나 아들들의 정치 활동을 지원하는 데 집중했다.
이 외에도 케네디는 극단적인 반유대주의 성향, 조지프 매카시 상원 의원과의 관계 및 매카시즘 지지, 딸 로즈마리 케네디에게 시행된 뇌엽절제술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으며, 이러한 논란들은 각각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3. 1. 반유대주의
조지프 P. 케네디의 생애 신념 중 하나는 반유대주의였다.[153] 그는 친구, 비즈니스 파트너, 중요한 거래 상대 중 유대인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반유대주의적 발언을 하거나 유대인을 "kikes 또는 sheenies"와 같은 멸칭으로 부르는 것에 모순을 느끼지 않았다.[73][153] 그의 대사관 보좌관이었던 하비 클레머에 따르면, 케네디는 "어떤 유대인들은 괜찮아, 하비, 하지만 인종으로서 그들은 역겹고, 손대는 모든 것을 망쳐."라고 말했다고 한다.[73] 클레머가 독일 여행에서 돌아와 나치의 유대인에 대한 파괴 행위와 폭행을 보고했을 때, 케네디는 "음, 그들이 자초한 일이지."라고 답했다고 전해진다.[77] 이는 그가 "유대인에 대한 박해는 자업자득"이라고 발언한 것과 일맥상통한다.[155]주영 미국 대사 시절, 케네디는 1938년 6월 13일 런던에서 영국 주재 독일 대사인 헤르베르트 폰 디르크젠과 만났다. 디르크젠은 베를린에 보낸 보고에서 케네디가 자신에게 "우리가 유대인을 없애고 싶어하는 사실 자체가 우리에게 해로운 것이 아니라, 이 목적을 수행하는 데 우리가 낸 시끄러운 소란이었다. [케네디] 자신도 우리의 유대인 정책을 충분히 이해했다."라고 말했다고 주장했다.[78] 케네디는 독일 유대인에 대한 수정의 밤(Kristallnacht)과 같은 폭력 행위에 대해, 그것이 나치 정권에 대한 서방의 부정적인 여론을 만든다는 점을 주로 우려했으며, 이러한 우려는 찰스 린드버그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드러난다.[79]
또한 케네디는 영국 대사 시절 낸시 애스터를 중심으로 한 반유대주의 정치 살롱(애스터 저택의 이름을 따 "클리브덴 세트"라 불림)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그들의 서신에는 반유대주의적 발언이 가득했다.[80][154] 전기 작가 에드워드 레네한에 따르면:
:As fiercely anti-Communist as they were anti-Semitic, Kennedy and Astor looked on Adolf Hitler as a welcome solution to both of these "world problems" (Nancy's phrase). ... Kennedy replied that he expected the "Jewish media" in the United States to become a problem, that "Jewish commentators" in New York and Los Angeles were already making noises intending to "set a match to the fuse of the world."|그들은 반공산주의만큼이나 반유대주의적이었고, 케네디와 애스터는 아돌프 히틀러를 이 두 가지 "세계 문제" (낸시의 표현)에 대한 환영할 만한 해결책으로 여겼다. ... 케네디는 미국 내 "유대 언론"이 문제가 될 것이며,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의 유대 평론가들"이 이미 "세계의 도화선에 불을 붙이려는" 소리를 내고 있다고 답했다.eng[81]
이 그룹에는 유명한 비행사이자 나치 동조자로 알려진 찰스 린드버그도 포함되어 있었다.[154] 케네디는 신문이나 잡지 인터뷰에서도 종종 "합중국의 민주주의는 유대인의 작품", "유대인이 합중국을 움직이고 있다"는 등의 반유대적 발언을 반복하여 비판을 받았다.[156]
1940년 8월, 케네디는 루스벨트 대통령의 3선이 전쟁을 의미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기 작가 로렌스 리머는 케네디가 "루스벨트, 처칠, 유대인, 그리고 그들의 동맹국들이 미국을 조작하여 아마겟돈에 접근하게 할 것"이라고 믿었다고 기록했다.[82]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네디는 루스벨트의 3선을 지지했는데, 이는 루스벨트가 1942년 매사추세츠 주지사 선거에서 아들 조지프 케네디 주니어를 지원하겠다는 약속 때문이었다.[83]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케네디는 히틀러보다 연방 대법원 대법관 펠릭스 프랑크푸르터와 같은 저명한 미국 유대인들을 "더 경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84]
케네디는 기자 조 디니에게 자신의 생각을 다음과 같이 밝히기도 했다.
:It is true that I have a low opinion of some Jews in public and private life. That does not mean that I believe they should be wiped off the face of the Earth. ... Jews who take advantage of the fact of their persecution as a race are not helpful. ... publicizing unjust attacks on the Jews may help to cure the injustice, but continually publicizing the whole problem only serves to keep it alive in the public mind.|나는 공직과 사생활에서 일부 유대인에 대해 좋지 않은 평가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지구상에서 사라져야 한다고 믿는다는 뜻은 아니다. ... 박해받는 인종이라는 사실을 부당하게 이용하는 유대인들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유대인에 대한 부당한 공격을 공론화하는 것은 불의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문제 전체를 지속적으로 공론화하는 것은 대중의 마음속에 그것을 살아있게 하는 데 기여할 뿐이다.eng[85]
결과적으로 이러한 극단적인 반유대주의적 언행은 케네디의 정치 생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56]
3. 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입장
1938년, 루스벨트 대통령은 케네디를 주영국 미국 대사로 임명했다. 케네디는 루스벨트의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되기를 희망했으며,[65] 1939년 말에는 영국 기자에게 루스벨트가 194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실패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하기도 했다.[63]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항공기의 런던 폭격이 시작되자 케네디와 그의 가족은 시골로 피신했는데, 이 행동으로 영국 내에서 그의 평판은 크게 손상되었다.[66] 당시 랜돌프 처칠은 케네디의 행동을 빗대어 "수선화가 노란색인 줄 알았는데, 조 케네디를 만나기 전까지는 (그가 얼마나 겁쟁이인지) 몰랐다"라고 비꼬기도 했다.[67]
케네디는 전쟁에 대해 패배주의자라는 평가를 받았다.[68] 그는 윈스턴 처칠이 나치 독일과의 타협은 불가능하다고 본 것과 달리, 네빌 체임벌린 총리의 유화 정책을 지지했다. 1938년 독일 내 유대인 박해가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케네디는 아돌프 히틀러와의 만남을 주선하려 시도했다.[72] 나치의 영국 도시 폭격이 시작되기 직전인 1940년 9월에는 다시 한번 미국 국무부의 승인 없이 히틀러와의 개인 면담을 추진하며 "미국과 독일 간의 더 나은 이해를 가져오려" 했다.[73]
1939년 9월 전쟁 발발 후, 케네디는 미국의 중립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으며, 이는 영국에 대한 원조를 늘리려는 루스벨트의 정책과 충돌했다.[74] 그는 1940년 11월 10일자 ''보스턴 선데이 글로브''와의 인터뷰에서 "영국에서는 민주주의가 끝났다. 아마 여기 [미국]에서도 그럴 것이다."[75]라는 발언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 독일이 폴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프랑스를 점령하고 영국 본토를 매일 폭격하는 상황에서도, 케네디는 이 전쟁이 민주주의를 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반복해서 주장했다. ''보스턴 글로브''의 루이스 M. 라이언스와 ''세인트루이스 포스트-디스패치''의 랄프 코글란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앞으로 6개월을 어떻게 보내느냐가 중요하다. 영국을 돕는 모든 이유는 우리에게 시간을 벌어주기 위함이다… 영국이 버티는 한, 우리는 준비할 시간이 있다. 영국이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는 것은 아니다. 그건 헛소리다. 영국은 우리에게 닥칠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위 본능으로 싸우고 있다… 나는 다른 누구보다 유럽 상황을 더 잘 알고 있으며, 이 사실을 국민들에게 알려야 한다.[75]
케네디의 견해는 일관성을 잃고 점차 고립주의적으로 변해갔다. 영국 국회의원 조시아 웨지우드 4세는 케네디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우리는 외교 훈련을 받지 않았고, 역사와 정치에 무지하며, 엄청난 홍보를 추구하고, 미국 최초의 가톨릭 대통령이 되려는 야망을 가진 부자를 가지고 있다.[76]
1939년 말부터 케네디는 루스벨트와 국무부가 자신을 대사 업무 관련 논의에서 배제하고 있다고 의심하기 시작했다. 루스벨트는 당시 해군 장관이었던 윈스턴 처칠과 은밀하게 소통했으며, 1940년 초에는 케네디에게 알리지 않고 차관 서머 웰스, 윌리엄 도노반 장군 등을 개인 대표로 런던 및 유럽 수도에 파견하여 케네디를 당혹스럽게 만들었다.[86] 이로 인해 케네디는 1940년 내내 사임을 고려했지만 루스벨트는 그가 런던에 머물기를 원했다. 1940년 10월 말, 루스벨트는 선거 전 협의를 위해 케네디를 워싱턴으로 불렀고, 케네디는 이 기회에 사임 의사를 밝혔다. 그는 루스벨트의 재선을 지지하는 전국 라디오 연설을 하기로 동의했고, 이 연설은 망설이던 아일랜드계 가톨릭 유권자들을 루스벨트 지지로 이끄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케네디는 1940년 12월 1일 공식적으로 사임서를 제출했으나, 후임자가 결정될 때까지인 1941년 초까지 대사직을 유지했다.[87]
전쟁 기간 동안 케네디와 루스벨트 행정부의 관계는 계속 긴장 상태였다. 특히 그의 장남 조 주니어가 1940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루스벨트의 전례 없는 3선 도전을 공개적으로 반대한 일도 있었다. 케네디 자신도 1940년 혹은 그 이후에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고려했을 수 있다. 대사직 사임 후 그는 사실상 전국 정치 무대에서 물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을 관망하는 입장을 취했다.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루스벨트의 4선 도전을 위해 아일랜드계 미국인 및 로마 가톨릭 민주당원들을 결집시키는 제한적인 역할을 하기는 했지만, 과거의 실언들로 인해 신뢰를 잃어 전쟁 노력에 기여하고 싶다는 그의 바람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88]
3. 3. 매카시즘 지지
조지프 P. 케네디는 공화당 소속의 상원 의원 조지프 매카시와 개인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두 사람은 아일랜드계 가톨릭 신자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93] 케네디는 1940년대 후반부터 매카시를 매사추세츠주 하이애니스 포트에 있는 자택에 주말 손님으로 자주 초대했으며, 한때 매카시는 케네디의 딸 패트리샤와 교제하기도 했다.[93]1950년대 들어 매카시가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매카시즘으로 명성을 얻자, 케네디는 그에게 수천 달러의 자금을 지원하며 주요 후원자 중 한 명이 되었다.[93] 이러한 관계는 아일랜드계 가톨릭 공동체 내에서 케네디 가문의 입지를 다지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매카시즘에 반대하는 자유주의 진영으로부터는 비판을 받았다.[93]
1952년 매사추세츠주 상원 선거 당시, 케네디는 공화당 소속인 매카시가 해당 주의 공화당 후보를 위한 지원 유세를 하지 않도록 하는 거래를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대가로 상원 의원 후보였던 아들 존 F. 케네디 하원의원은 자유주의 지지자들이 원했던 매카시 비판 연설을 자제하기로 했다.[93]
1953년, 케네디는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해 27세의 아들 로버트 F. 케네디를 매카시가 위원장으로 있던 상원 조사 소위원회의 선임 직원으로 임명하도록 주선했다. 그러나 매카시는 로이 콘을 수석 변호사로 임명하고 로버트는 보좌 변호사로 두었다.[93] 이후 로버트 케네디는 매카시의 수석 보좌관인 로이 콘과 갈등을 겪었고, 1954년에는 결국 소위원회에서 사임했다.[93]
1954년, 미국 상원에서 매카시의 활동 방식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며 그에 대한 규탄 결의안이 추진되자, 당시 상원 의원이었던 존 F. 케네디는 곤란한 입장에 처했다. 그는 "내 동생이 매카시 밑에서 일했는데, 내가 어떻게 그를 비난하는 데 동참할 수 있겠는가?"라고 토로한 것으로 전해진다.[93] 존 F. 케네디는 매카시를 비판하는 연설문을 준비했으나 실제로는 발표하지 않았다. 1954년 12월 2일, 상원에서 매카시 규탄 결의안이 통과될 당시, 존 F. 케네디는 병원에 입원 중이었으며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고 자신의 입장 표명도 유보했다. 결과적으로 그는 매카시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기권한 셈이 되었다.[93] 조지프 P. 케네디는 이러한 논란 속에서도 끝까지 매카시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유지했다.[93]
3. 4. 로즈마리 케네디 뇌엽절제술

딸 로즈마리 케네디가 23세였을 때, 의사들은 아버지 조지프 P. 케네디 시니어에게 정신외과 수술의 일종인 뇌엽절제술이 딸의 기분 변화를 진정시키고 가끔 보이는 폭력적인 행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117][110] 로즈마리는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는 설명이 일반적이지만[113][111], 일부에서는 케네디 가문이 설명한 장애의 성격과 범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112] 로즈마리의 예측 불가능한 행동은 부모, 특히 아버지 조지프에게 큰 좌절감을 안겨주었다. 그는 딸이 가족에게 수치심을 주고 자신의 정치 경력과 다른 자녀들의 미래에 해를 끼칠 것을 염려했다.[112][111] 결국 조지프 P. 케네디는 외과 의사들에게 로즈마리의 뇌엽절제술을 의뢰했고, 수술은 1941년 11월에 시행되었다.[113][114] 그는 수술이 끝날 때까지 아내 로즈 케네디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115] 수술은 조지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 소속의 제임스 W. 와츠와 월터 프리먼이 집도했다.[116]
그러나 뇌엽절제술은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고,[113] 로즈마리 케네디는 영구적인 장애를 갖게 되었다.[117] 정신 능력은 두 살짜리 아이 수준으로 퇴행했으며, 제대로 걷거나 말하는 것이 불가능해졌고 요실금 증상까지 보였다.[118] 수술 직후 로즈마리는 시설로 보내졌다.[119] 1949년에는 위스콘신주 제퍼슨으로 옮겨져, 세인트 콜레타 특수 아동 학교 부지 내에서 여생을 보냈다.[120] 아버지 조지프 P. 케네디는 시설에 있는 딸을 단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다.[121] 케이트 클리포드 라슨의 저서 ''로즈마리: 숨겨진 케네디의 딸''에 따르면, 로즈마리의 뇌엽절제술 사실은 가족 내에서 20년 동안 비밀에 부쳐졌다.[122] 1961년 조지프 P. 케네디가 뇌졸중으로 쓰러져 말을 할 수 없게 된 후에야 다른 자녀들이 로즈마리의 상태와 거처를 알게 되었다.[122] 이 수술 사실이 대중에게 알려진 것은 1987년이었다.[123] 로즈마리 케네디는 2005년 1월 7일, 86세의 나이로 자연사했다.[115]
전 미국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 소장이자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보좌관이었던 버트람 S. 브라운 박사는 케네디 전기 작가에게 조지프 P. 케네디가 아들 존의 대통령 출마를 위해 로즈마리를 정신 질환자가 아닌 정신 지체아로 언급했다고 밝혔다. 브라운 박사는 또한 케네디 가문이 "정신 질환에 대한 지원 부족"을 보인 것은 "실제 있었던 일에 대한 평생에 걸친 가족의 부인"의 일부였다고 덧붙였다.[117][125][126][127]
4. 가족 관계
1914년 10월 7일, 케네디는 보스턴 시장을 지낸 존 F. "허니 피츠" 피츠제럴드의 장녀 로즈 엘리자베스 피츠제럴드와[97] 보스턴의 윌리엄 헨리 오코넬 대주교의 사립 예배당에서 결혼했다.[99] 2주간의 신혼여행 후, 부부는 보스턴 교외인 매사추세츠주 브루클린의 83 비일스 스트리트에 정착했다.[100]
조셉과 로즈 케네디는 아홉 명의 자녀를 두었다.[101]
- 장남: 조지프 P. 케네디 주니어 (1915–1944)
- 차남: 존 F. 케네디 (1917–1963), "잭"으로 불림.
- * 며느리: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 ** 손녀: 아라벨라 케네디 (사산)
- ** 손녀: 캐럴라인 케네디
- ** 손자: 존 F. 케네디 주니어
- ** 손자: 패트릭 부비에 케네디 (유아기 사망)
- 장녀: 로즈마리 케네디 (1918–2005), "로즈마리"로 불림.
- 차녀: 캐슬린 아그네스 케네디 (1920–1948), "킥"으로 불림.
- 삼녀: 유니스 케네디 슈라이버 (1921–2009)
- 사녀: 패트리샤 케네디 로퍼드 (1924–2006)
- 삼남: 로버트 F. 케네디 (1925–1968), "바비"로 불림.
- 오녀: 진 케네디 스미스 (1928–2020)
- 사남: 에드워드 M. 케네디 (1932–2009), "테드"로 불림.
케네디의 세 아들은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올랐다. 존 F. 케네디는 미국 대통령을, 로버트 F. 케네디는 미국 법무장관과 상원의원을, 에드워드 "테드" 케네디는 오랜 기간 상원의원을 역임했다. 딸 유니스 케네디 슈라이버는 장애인을 위한 스페셜 올림픽을 창설했고,[102] 진 케네디 스미스는 주 아일랜드 미국 대사를 지냈다.[103]
1944년 5월 6일, 케네디의 딸 캐슬린은 윌리엄 "빌리" 케번디시, 데번셔 공작의 장남인 하팅턴 후작과 결혼했다. 하팅턴이 성공회 신자였기 때문에 어머니 로즈 케네디는 이 결혼을 반대했다. 종교적 차이로 인해 하팅턴과 캐슬린은 시민 결혼식을 올렸다. 콜드스트림 가드의 소령이었던 하팅턴은 1944년 전투 중 사망했다.[71] 캐슬린 본인도 1948년 프랑스에서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장녀 로즈마리 케네디는 1941년 아버지 조지프의 결정으로 로보토미 수술을 받았다. 당시 이 수술은 정신 질환 치료법으로 여겨졌으나, 수술 결과 로즈마리는 심각한 지적 및 신체적 장애를 갖게 되어 남은 생을 시설에서 보내야 했다. 케네디가는 이 사실을 오랫동안 숨겼으며, 이는 후에 큰 논란과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케네디가는 이후 지적 장애인 지원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36]
조지프 P. 케네디는 배우 글로리아 스완슨[97][107], 마를렌 디트리히[108] 등과 혼외 관계를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09]
다음은 조지프와 로즈 케네디의 자녀들에 대한 요약이다.
이름 | 출생 | 사망 | 사망 당시 나이 | 기타/사망 원인 |
---|---|---|---|---|
조셉 P. 케네디 주니어 | 1915년 7월 25일 | 1944년 8월 12일 | 29세 | 1944년 영국에서 전사(제2차 세계 대전). |
존 F. 케네디 | 1917년 5월 29일 | 1963년 11월 22일 | 46세 | 1953년 재클린 리 부비에와 결혼. 제35대 미국 대통령.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암살. |
로즈마리 케네디 | 1918년 9월 13일 | 2005년 1월 7일 | 86세 | 1941년에 로보토미 수술을 받고 장애를 얻어, 남은 인생을 장애인 시설에서 보냈다. |
캐슬린 아그네스 케네디 | 1920년 2월 20일 | 1948년 5월 13일 | 28세 | 1944년 영국 귀족 윌리엄 캐번디시 하팅턴과 결혼. 남편 사망 후, 프랑스에서 연인과 함께 항공기 사고로 사망. |
유니스 메리 케네디 | 1921년 7월 10일 | 2009년 8월 11일 | 88세 | 1953년 서전트 슈라이버와 결혼. 매사추세츠주 하이애니스의 케이프 코드 병원에서 사망. 스페셜 올림픽 창립자. |
패트리샤 케네디 | 1924년 5월 6일 | 2006년 9월 17일 | 82세 | 1954년 배우 피터 로퍼드와 결혼. 1966년 이혼. 2006년 사망. |
로버트 케네디 | 1925년 11월 20일 | 1968년 6월 6일 | 42세 | 1950년 에델 스켈과 결혼. 1961년–1964년 법무 장관, 1965년–1968년 뉴욕주 상원 의원, 로스앤젤레스에서 암살. |
진 앤 케네디 | 1928년 2월 20일 | 2020년 6월 17일 | 92세 | 1956년 스테판 에드워드 스미스(Stephen Edward Smith)와 결혼, 1993년-1998년 주 아일랜드 미국 대사 |
에드워드 케네디 | 1932년 2월 22일 | 2009년 8월 25일 | 77세 | 1958년 조안 베넷(Joan Bennett)과 결혼, 1982년 이혼. 1992년 빅토리아 레지 케네디와 재혼. 1962년부터 사망한 2009년까지 매사추세츠주 상원 의원. |
5. 죽음
1961년 12월 19일, 73세의 나이에 케네디는 뇌졸중(뇌경색)을 겪었다.[128] 그는 생존했지만 오른쪽 몸이 마비되었고, 실어증을 앓게 되어 말하는 능력에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128] 정신적으로는 명료한 상태를 유지했으며, 치료를 통해 일부 기능을 회복하여 지팡이를 짚고 걸을 수 있게 되었고 말하는 능력도 약간 개선되었다.[128] 하지만 점차 근육이 쇠약해져 결국 휠체어를 사용하게 되었다.[128] 1963년 아들 존 대통령이 암살되었을 때는 이미 거동이 불편할 정도로 건강이 악화된 상태였다. 1964년에는 뇌 손상 환자를 위한 의료 및 재활 센터인 필라델피아의 인적 잠재력 개발 연구소로 옮겨졌다.[128]
이후에도 케네디 가문의 비극은 계속되었다. 1968년 6월 5일, 차남 로버트가 대통령 선거 운동 중에 암살당했고, 다음 날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9] 로버트의 사망 후, 케네디는 아내 로즈, 막내아들 테드와 함께 촬영된 메시지를 통해 국민들에게 마지막으로 공식적인 모습을 보였다.[130]
케네디는 로버트가 암살된 다음 해인 1969년 11월 18일, 로버트의 44번째 생일을 이틀 앞두고 하이애니스 포트 자택에서 8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31] 그는 슬하의 자녀 중 네 명보다 더 오래 살았다.[132] 그의 시신은 매사추세츠주 브루클린에 있는 홀리후드 묘지에 안장되었다.[133] 이후 그의 아내 로즈는 1995년 104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남편 곁에 묻혔고, 2005년에는 딸 로즈마리도 같은 곳에 안장되었다.[133]
참조
[1]
웹사이트
Generations of the Kennedy Family | American Experience | PBS
https://www.pbs.org/[...]
[2]
웹사이트
Joseph Kennedy | Biography, Facts, & Family
https://www.britanni[...]
2023-09-04
[3]
서적
Robert Kennedy: Brother Protector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00-04-04
[4]
서적
Irish Americans: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People: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Peopl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1-25
[5]
웹사이트
All the Tragedy That Has Led to Belief in a Kennedy Curse
https://www.eonline.[...]
2019-08-02
[6]
서적
The Patriarch: The Remarkable Life and Turbulent Times of Joseph P. Kennedy
2012
[7]
뉴스
The Biggest Kennedy Myth
http://www.thedailyb[...]
The Newsweek/Daily Beast Company LLC
2013-04-07
[8]
서적
The Patriarch: The Remarkable Life and Turbulent Times of Joseph P. Kennedy
[9]
웹사이트
What is $300,000,000 in 1957 worth in 2023?
https://www.amortiza[...]
[10]
간행물
The Fifty-Million-Dollar Man
1957-11-01
[11]
서적
[12]
웹사이트
Joseph P. Kennedy - JFK Library
https://www.jfklibra[...]
[13]
서적
[14]
서적
An Unfinished Life: John F. Kennedy, 1917 - 1963
2003
[15]
웹사이트
A Rise to Prominence: John F. Kennedy's Paternal Lineage
https://www.nps.gov/[...]
[16]
웹사이트
Joseph P. Kennedy - JFK Library
https://www.jfklibra[...]
[17]
서적
JFK: Coming of Age in the American Century, 1917-1956
Random House
2021
[18]
서적
The Day Wall Street Explod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9]
웹사이트
Joseph Kennedy & How He Built The Kennedy Family Fortune Through Insider Trading
https://medium.com/c[...]
2018-03-22
[20]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Grove Atlantic
[21]
서적
The Patriarch: The Remarkable Life and Turbulent Times of Joseph P. Kennedy
[22]
서적
The Ambassador: Joseph P. Kennedy at the Court of St. James's 1938-1940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21
[23]
서적
Narrative Economics: How Stories Go Viral and Drive Major Economic Event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
[24]
뉴스
Essay: The Merits of Speculation
https://web.archive.[...]
1967-09-22
[25]
서적
The Patriarch: The Remarkable Life and Turbulent Times of Joseph P. Kennedy
[26]
서적
[27]
서적
An Unfinished Life: John F. Kennedy, 1917 - 1963
2003
[28]
서적
The Patriarch: The Remarkable Life and Turbulent Times of Joseph P. Kennedy
[29]
간행물
The Peculiar Life of Joseph Kennedy
https://www.jstor.or[...]
2012
[30]
서적
Joseph Kennedy Presents: His Hollywood Years
Knopf
2009
[31]
웹사이트
Joseph P. Kennedy - JFK Library
https://www.jfklibra[...]
[32]
서적
The Fitzgeralds and the Kennedys
St. Martin's Press
1987
[33]
서적
[34]
서적
The Founding Father
1964
[35]
서적
Entertainment Industry: A Reference Handbook
Bloomsbury Academic
2012
[36]
웹사이트
Joseph P. Kennedy - JFK Library
https://www.jfklibra[...]
[37]
문서
Kessler, p. 57.
[38]
서적
Hollywood Babylon II
E. P. Dutton, Inc.
[39]
서적
Joseph P. Kennedy Presents: His Hollywood Years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40]
서적
Joseph Kennedy Presents: His Hollywood Years
Knopf
[41]
문서
Kessler, p. 86.
[42]
문서
Nasaw, pp. 79–81.
[43]
웹사이트
How Joseph Kennedy Made His Fortune (Hint: It Wasn't Bootlegging)
https://www.history.[...]
2023-04-26
[44]
웹사이트
Smashing Mythology: Joseph Patrick Kennedy Sr. and Bootlegging
https://www.nps.gov/[...]
[45]
문서
Nasaw, p. 611.
[46]
문서
Leamer 308.
[47]
웹사이트
The Kennedy Wealth
https://www.pbs.org/[...]
[48]
서적
How Joe Kennedy Made His Millons
https://books.google[...]
Life
1963-01-25
[49]
뉴스
Big 'Mart' Bought by Joseph Kennedy
https://www.nytimes.[...]
1945-07-22
[50]
뉴스
End of the house that Joe built
1998-03-22
[51]
웹사이트
Joseph P. Kennedy - JFK Library
https://www.jfklibra[...]
[52]
서적
Franklin D. Roosevelt and the Third Americ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53]
문서
Nasaw, p. 208
[54]
문서
Nasaw, p. 216
[55]
문서
Nassau, The Patriarch, pp. 219–228
[56]
웹사이트
Joseph P. Kennedy – JFK Library
https://www.jfklibra[...]
[57]
웹사이트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Historical Society
http://www.sechistor[...]
[58]
웹사이트
Joseph P. Kennedy - JFK Library
https://www.jfklibra[...]
[59]
문서
Leamer 93; Brinkley 127.
[60]
문서
Maier pp. 103–107.
[61]
문서
Smith pp. 122, 171, 379, 502; Alan Brinkley, Voices of Protest (1984) p. 127; Michael Kazin, The Populist Persuasion (1995) pp. 109, 123.
[62]
서적
Right in Michigan's Grassroots: From the KKK to the Michigan Milit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2011-06-07
[63]
웹사이트
Joseph Kennedy and the Jews
https://historynewsn[...]
[64]
서적
The Kennedys: America's Emerald Kings: A Five-Generation History of the Ultimate Irish-Catholic Family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9-03-25
[65]
웹사이트
The bootleg politician: He could have anything he wanted, except the thing he wanted most. So Joe Kennedy used his money and the vast influence it bought to promote the next generation. But how had he made the fortune that bought the presidency?
http://www.independe[...]
1992-10-11
[66]
서적
The Secret US Plan to Overthrow the British Empire: War Plan Red
https://books.google[...]
Frontline Books
2020-04-30
[67]
서적
When Lions Roar: The Churchills and the Kennedys
https://books.google[...]
Crown
2014-10-28
[68]
서적
Mighty Endeavor: The American Nation and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9-10-10
[69]
웹사이트
Eyewitness
https://www.archives[...]
[70]
문서
Kessler, p. 157
[71]
문서
Nasaw
[72]
문서
Hersh
[73]
문서
Hersh
[74]
웹사이트
The Roosevelts and the Kennedys
https://fdr.blogs.ar[...]
2013-11-22
[75]
뉴스
''Boston Sunday Globe''
1940-11-10
[76]
서적
The Kennedys: Dynasty and Disaster
https://books.google[...]
S.P.I. Books
[77]
문서
Leamer
[78]
문서
Hersh, Renehan
[79]
문서
Renehan
[80]
문서
Renehan, Leamer
[81]
문서
Renehan, "Joseph Kennedy and the Jews"
[82]
문서
Leamer
[83]
서적
The New Dealers' War: F.D.R. And The War Within World War II
Basic Books
[84]
문서
Renehan
[85]
문서
Kessler
[86]
서적
Hostage to Fortune: The Letters of Joseph P. Kennedy
[87]
문서
Nasaw
[88]
문서
Leamer, Leuchtenburg
[89]
문서
Leamer, Cohen, Taylor, Meagher
[90]
문서
Leamer
[91]
서적
In the Shadow of FDR: From Harry Truman to George W. Bush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92]
뉴스
Kennedy and Nixon: An Uneasy Relationship
https://www.nytimes.[...]
2013-08-01
[93]
서적
John F. Kennedy: A Biography, The Life and Times of Joe McCarthy, The Kennedys
[94]
웹사이트
Two Sons, One Destiny
https://www.vanityfa[...]
2012-01-04
[95]
웹사이트
Parents at the Inaugurations – Presidents' Parents
https://web.archive.[...]
Presidentsparents.com
2014-05-09
[96]
문서
Kessler
[97]
잡지
The Wedding That Changed American History
https://time.com/346[...]
2014-10-07
[98]
웹사이트
Meet Honey Fitz: The 'pixie like' mayor of Boston (and JFK's grandfather)
https://www.boston.c[...]
2017-05-17
[99]
웹사이트
Rose Fitzgerald Kennedy
https://www.jfklibra[...]
[100]
문서
Nasaw
[101]
웹사이트
Eunice Kennedy Shriver's Death Leaves 2 Living Kennedy Siblings
https://www.foxnews.[...]
2015-03-25
[102]
뉴스
Eunice Kennedy Shriver, Influential Founder of Special Olympics, Dies at 88
https://www.nytimes.[...]
2009-08-11
[103]
웹사이트
Last living sibling of John F. Kennedy celebrates her 91st birthday
http://www.irishcent[...]
2019-02-20
[104]
웹사이트
Rose Fitzgerald Kennedy Personal Papers
https://www.jfklibra[...]
[105]
서적
Bad Blood: Lyndon B. Johnson, Robert F. Kennedy, and the Tumultuous 1960s
AuthorHouse
[106]
뉴스
New Kick Kennedy bio recounts her father's affairs with Hollywood actresses
https://www.washingt[...]
2016-07-11
[107]
웹사이트
Kennedy and Swanson, as if We Didn't Know: AND JOE The Star-Crossed Love Affair of Gloria Swanson and Joe Kennedy by Axel Madsen (William Morrow/Arbor House: $18.95; 328 pp., illustrated)
https://www.latimes.[...]
1988-02-14
[108]
웹사이트
It Happened at the Hotel du Cap
https://www.vanityfa[...]
2009-02-13
[109]
웹사이트
The JFK–Marilyn Hoax
https://www.newsweek[...]
1997-10-05
[110]
잡지
Rosemary Kennedy: The Truth About Her Lobotomy
http://www.people.co[...]
2015-09-06
[111]
뉴스
'Rosemary: The Hidden Kennedy Daughter,' by Kate Clifford Larson
https://www.nytimes.[...]
2015-10-06
[112]
웹사이트
The exiled Kennedy
http://www.independe[...]
2005-01-15
[113]
웹사이트
The Untold Story of JFK's Sister, Rosemary Kennedy, and Her Disastrous Lobotomy
https://people.com/p[...]
2018-09-06
[114]
웹사이트
Unseen Letters from JFK's Sister Rosemary, Who Underwent a Lobotomy, Reveal Depth of Her 'Loss'
https://people.com/p[...]
2018-09-13
[115]
뉴스
Obituaries: Rosemary Kennedy
https://www.independ[...]
2013-01-24
[116]
서적
The Sins of the Father
Warner Books
[117]
서적
Copious hosting: a theology of acces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18]
웹사이트
The Forgotten Kennedy
https://www.theguard[...]
2009-08-12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The Kennedys
https://archive.org/[...]
Summit Books
[122]
웹사이트
Why Rosemary Kennedy's Siblings Didn't See Her for 20 Years After Her Lobotomy
https://people.com/b[...]
2015-09-03
[123]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sad and dreadful life of Rosemary Kennedy
http://www.irishcent[...]
2020-11-09
[124]
뉴스
Sister of President John F Kennedy dies
https://www.telegrap[...]
2013-01-24
[125]
서적
[126]
서적
The Kennedy Family and the History of Mental Retardation
Temple University Press
[127]
서적
Collaborate, Communicate, and Differentiate!: How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in Today's Diverse Schools
https://books.google[...]
Corwin Press
[128]
잡지
People: May 22, 1964
https://web.archive.[...]
1964-05-22
[129]
웹사이트
RFK 50 years later: A look back at the assassination of Bobby Kennedy
https://www.nbcnews.[...]
NBC News
2018-06-06
[130]
웹사이트
Edward & Rose Kennedy thanks the nation following Robert F. Kennedy's assassination
https://www.youtube.[...]
1968-06-15
[131]
뉴스
David Nasaw's 'Patriarch,' on Joseph P. Kennedy
https://www.nytimes.[...]
2012-11-29
[132]
웹사이트
Sins of the Father
https://www.bostonma[...]
2012-11-13
[133]
뉴스
Friends, family bid farewell to Kennedy in D.C., Brookline
http://archive.bosto[...]
2011-09-22
[134]
서적
케네디의 저주
집영사
[135]
서적
케네디가의 악몽
[136]
서적
너의 아버지의 죄
문예춘추사
[137]
서적
[138]
서적
The Fitzgeralds and the Kennedys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ケネディ家の人々
草思社
[142]
서적
ケネディ 神話と実像
中公新書
[143]
서적
[144]
웹사이트
How Joseph Kennedy Made His Fortune (Hint: It Wasn't Bootlegging)
https://www.history.[...]
2023-04-26
[145]
웹사이트
Smashing Mythology: Joseph Patrick Kennedy Sr. and Bootlegging
https://www.nps.gov/[...]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문서
미국 청교도와 로마 가톨릭 신자 차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